서울 갭투자 현황과 정부 대책,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갭투자란 무엇인가? 갭투자는 전세 보증금을 활용해 부동산을 매수하는 투자 방식입니다. 쉽게 말해, 기존 임차인의 전세 보증금을 그대로 승계받아 집을 사는 방법이죠. 예를 들어 3억 원짜리 아파트에 2억 원의 전세 보증금이 있다면, 투자자는 1억 원만 있으면 이 집을 살 수 있게 됩니다.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갭투자가 큰 화제가 되고 있는 이유는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이를 우회할 수 있는 투자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6억 원 이상 주택담보대출이 제한되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갭투자로 눈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에요. 서울 갭투자 현황, 놀라운 수치들 서울 전체 거래의 40% 이상이 갭투자 2025년 1~5월 서울 부동산 거래 분석 결과, 전체 거래의 40.72%가 갭투자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상당히 높은 수치로,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갭투자가 얼마나 보편화됐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어요. 마·용·성 지역의 갭투자 비율 절반 달해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최근 집값 상승을 주도한 지역일수록 갭투자 비율이 높다는 점입니다: • 용산구 : 55.52% • 서초구 : 54.1% • 동작구 : 50.08% • 마포구 : 47.96% • 강남구 : 46.43% 마포구, 용산구, 성동구를 합친 마·용·성 지역의 갭투자 비율은 48.28%로 거의 절반에 달했습니다. 이는 우연이 아닙니다. 이들 지역은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진 곳들이거든요. 갭투자가 가능한 이유: 높은 전세가율 서울 전세가율 53%의 의미 KB국민은행 발표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3%에 달합니다. 이는 집값의 절반 정도만 자기 돈으로 마련하면 부동산 투자가 가능하다는 뜻이에요. 예를 들어 10억 원짜리 아파트라면 전세가가 5억 3천만 원 정도라는 의미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4억 7천만 원만 있으면 10억 원짜리 부동산을 소유할 수 있게 되는 거죠. 대출 규제 우회 수단으로 활용 정부가 6억 원 초과 주택담보대출을 제한하는 ...